하루 적정 물 섭취량은 얼마일까?

우리 몸은 실제로 60~70% 정도가 물로 채워져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물의 중요성은 강조할 때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 몸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물을 잃게 됩니다. 그래서 우리는 물을 보충해야 합니다.
그런데, 어느정도의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좋은 것일까요?

과유불급

어떤 사람들은 몸의 해독을 위해 많은 양의 물을 권장하기도 합니다.

실제로 물을 많이 마시면 혈색이 좋아지고 배변도 원활해져서 전반적으로 미용에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높은 나트륨 섭취로 인한 증상도 개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의미에서, 물을 지나치게 섭취하는 것은 전해질을 희석시켜 심각한 경우 심장마비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즉, 수분이 부족한 경우에도 문제가 되고, 과다한 경우에도 문제가 됩니다.

정해진 용량이 없는 이유

물을 섭취하는 정해진 용량이 답이 되지 않는 이유는 다양한 이유가 있습니다. 우선 사람마다 식습관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특히 한국인은 매 끼니마다 먹는 쌀밥의 경우 수분 함유량이 65% 정도입니다. 이에 더해 국, 찌개 등 수분 함유량이 높은 음식이나 80% 이상의 수분을 함유한 야채, 샐러드, 식후 과일까지 섭취한다면, 각 개인이 보충해야 할 물의 양은 다를 수 있습니다.

서양인이 섭취하는 빵의 경우에는 수분 함유량이 약 30~45% 정도로 쌀밥의 절반 정도입니다. 따라서 서양 식단에 맞춰진 권장 물 섭취량을 따를 경우 한국 식단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본인에게 맞는 물 용량

그렇다면 어떤 기준으로 물을 섭취해야 할까요? 최근 들어 소변의 색깔이 물의 섭취 부족이나 과다를 정확히 알려준다는 내용을 본 적이 있습니다. 소변이 짙은 노란색이라면 물이 부족한 신호이고, 소변이 맑은 색이라면 물이 과다한 신호입니다. 이렇게 소변의 색을 통해 우리는 수시로 물의 양을 체크할 수 있으며, 개인별로 신체 수분의 적정량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는 상당히 기발한 아이디어 입니다. 이미 우리몸에는 이렇게 경고 시스템이 동작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개념들은 너무 단순해서 학자들에게는 그리 호평받지 못하는 정보인 것 같습니다. 뭔가 수치로 나타내야 전문적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즉, 학문적인 접근에서는 몸무게 당 몇 리터와 같이 수치화되고 표준화된 표준을 선호합니다. 그러나 인간은 각자 다르기 때문에 절대적인 표준을 정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통계적인 표준은 존재할 수 있지만, 절대적인 표준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건강을 위해 물의 섭취에 더 신경쓰는 것이 좋습니다. 화장실에서 그냥 넘어가지 말고 수분 섭취에 대해 조금 더 관심을 가지면 좋을 것 같습니다.

현재 글의 단축 주소: https://myhandybook.com/jw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