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지시 대한민국 옛 시간 법

12라는 숫자가 많은 나라에서 발견됩니다. 오늘은 한국의 옛 시간법에 대해서 글을 작성해 보겠습니다.

아마 본 문서의 번역본은 내용을 정상적으로 전달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한글이 가능하다면, 한글로 본 문서를 보는 것을 권장합니다.

한국에는 태어난 해를 기준으로 12개의 띠를 지정합니다. 그런데 하루도 12로 나눕니다. 현대의 24시간으로 나눈 것과 차이가 있는데요.

바로,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입니다. 이 정도는 외우는 것이 좋습니다. 나이드신 분들은 대부분 외우고 계십니다. ^^

12종류의 동물들

서양의 경우에도 비슷한 개념이 있는 것 같습니다. 서양에는 12별자리가 있습니다.

한국에는 12종류의 동물이 시간과 연도를 나타내는데, 각각은 동물은 아래와 같습니다.

자 = 쥐

축 = 소

인 = 호랑이

묘 = 토끼

진 = 용

사 = 뱀

오 = 말

미 = 양

신 = 원숭이

유 = 닭

술 = 개

해 = 돼지

동물과 시간의 관계

이를 24시간과 매칭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자 = 쥐 : 23시 ~1시 

축 = 소 : 1시 ~ 3시 

인 = 호랑이 : 3시 ~ 5시

묘 = 토끼 : 5시 ~ 7시

진 = 용 : 7시 ~ 9시

사 = 뱀 : 9시 ~ 11시

오 = 말 : 11시 ~ 13시

미 = 양 : 13시 ~ 15시

신 = 원숭이 : 15시 ~ 17시

유 = 닭 : 17시 ~ 19시

술 = 개 : 19시 ~ 21시

해 = 돼지 : 21시 ~ 23시

추가적인 사실

그런데 사실, 우리나라의 표준시와 국제 표준시 간에 오차범위가 존재합니다.

대한민국이 일제 강점기때 도쿄 표준시인 GMT+9으로 정해집니다.

서울시청의 경도는 126.978… 입니다. 

GMT는 15도 마다 1시간이 변경됩니다. 360도/24시 = 1시간에 15도.

GMT+9이라면, 9*15(135도) ~ 10*15(150도) 사이에 있는 도시의 시간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GMT+8이라면, 8*15(120도) ~ 9*15(135도) 사이에 있는 도시의 시간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렇게 보면, 대한민국은 GMT+9가 아니라, GMT+8에 해당합니다.

그러나, 오랜시간 GMT+9로 시스템화 되어서, 지금 GMT+8 혹은 UTC+08:30으로 바꾸는 것은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현재 글의 단축 주소: https://myhandybook.com/l9r2